사마타와 위파사나는 왜 쌍으로 닦여 진다고 하는가? (止觀雙修)
니까야에서 사마타와 위파사나는 항상 쌍으로 나온다고 한다.
사마타란 무엇이고 위파사나란 무엇이길래
항상 쌍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할까?
Samatha : [m.] calm; quietude of heart; settlement of legal questions
Mā : [a prohibitive particle] do not. (m.) the moon.
ṭhā , (梵sthā)﹐【字根I.】停留(to stay),站著(to stand)
vipassanā : [f.] insight [fr. vi+passati] 観, 毘鉢舎那, 観法, 内観
passati : [dis + a; dis is changed to pas.] sees; finds; understands, 見, 看(see); 發現找出找到(find); 知(know, recognise, realise)
S35:245 낑수까 나무 비유 경
8. “비구여, 이와 같이 그들 확신을 가진 참된 사람들은 그들의 아주 청정한 봄[見]에 따라서 설명을 한 것이다.
비구여, 예를 들면 왕의 국경에 있는 도시는 깊은 해자와 튼튼한 성벽과 망루를 가지고 있고 여섯 개의 대문을 가지고 있다. 거기에 지혜롭고 슬기롭고 현명한 문지기가 있어, 모르는 자들은 제지하고 아는 자들만 들어가게 한다. 그때 동쪽으로부터 재빠른 전령 두 명이 달려와서 그 문지기에게 ‘여보시오, 지금 이 도시의 성주는 어디에 계시오?’라고 말하면 그는 ‘지금 그분은 중앙광장에 앉아 계십니다.’라고 대답할 것이다. 그러면 그 재빠른 전령은 성주에게 있는 그대로 보고를 한 뒤 들어온 길을 따라서 되돌아 갈 것이다. 그때 서쪽으로부터 재빠른 전령 두 명이 달려와서 그 문지기에게 ‘여보시오, 지금 이 도시의 성주는 어디에 계시오?’라고 말하면 그는 ‘지금 그분은 중앙광장에 앉아 계십니다.’라고 대답할 것이다. 그러면 그 재빠른 전령은 성주에게 있는 그대로 보고를 한 뒤 들어온 길을 따라서 되돌아 갈 것이다. 그때 북쪽으로부터 재빠른 전령 두 명이 달려와서 그 문지기에게 ‘여보시오, 지금 이 도시의 성주는 어디에 계시오?’라고 말하면 그는 ‘지금 그분은 중앙광장에 앉아 계십니다.’라고 대답할 것이다. 그러면 그 재빠른 전령은 성주에게 있는 그대로 보고를 한 뒤 들어온 길을 따라서 되돌아 갈 것이다. 그때 남쪽으로부터 재빠른 전령 두 명이 달려와서 그 문지기에게 ‘여보시오, 지금 이 도시의 성주는 어디에 계시오?’라고 말하면 그는 ‘지금 그분은 중앙광장에 앉아 계십니다.’라고 대답할 것이다. 그러면 그 재빠른 전령은 성주에게 있는 그대로 보고를 한 뒤 들어온 길을 따라서 되돌아 갈 것이다."
Seyyathāpi, bhikkhu, rañño paccantimaṃ nagaraṃ daḷhuddhāpaṃ daḷhapākāratoraṇaṃ chadvāraṃ. Tatrassa dovāriko paṇḍito byatto medhāvī, aññātānaṃ nivāretā, ñātānaṃ pavesetā. Puratthimāya disāya āgantvā sīghaṃ dūtayugaṃ taṃ dovārikaṃ evaṃ vadeyya: ‘kahaṃ, bho purisa, imassa nagarassa nagarassāmī’ti? So evaṃ vadeyya: ‘eso, bhante, majjhe siṅghāṭake nisinno’ti. Atha kho taṃ sīghaṃ dūtayugaṃ nagarassāmikassa yathābhūtaṃ vacanaṃ niyyātetvā yathāgatamaggaṃ paṭipajjeyya. Pacchimāya disāya āgantvā sīghaṃ dūtayugaṃ … pe … uttarāya disāya … dakkhiṇāya disāya āgantvā sīghaṃ dūtayugaṃ taṃ dovārikaṃ evaṃ vadeyya: ‘kahaṃ, bho purisa, imassa nagarassāmī’ti? So evaṃ vadeyya: ‘eso, bhante, majjhe siṅghāṭake nisinno’ti. Atha kho taṃ sīghaṃ dūtayugaṃ nagarassāmikassa yathābhūtaṃ vacanaṃ niyyātetvā yathāgatamaggaṃ paṭipajjeyya.
9. “비구여, 이 비유는 뜻을 바르게 전달하기 위해서 내가 만든 것이다. 그 뜻은 이와 같다.
비구여, 도시라는 것은 네 가지 근본물질로 이루어진 이 몸을 두고 한 말이니 이 몸은 부모에게서 생겨났고, 밥과 죽으로 집적되었으며, 무상하고 파괴되고 분쇄되고 해체되고 분해되기 마련인 것이다.
비구여, 여섯 개의 대문이란 여섯 가지 안의 감각장소를 두고 한 말이다.
비구여, 문지기란 마음 챙김을 두고 한 말이다.
비구여, 재빠른 전령 두 명이란 사마타와 위빠사나를 두고 한 말이다.
비구여, 성주는 알음알이를 두고 한 말이다.
비구여, 중앙광장이란 네 가지 근본물질을 두고 한 말이니 그것은 땅의 요소, 물의 요소, 불의 요소, 바람의 요소이다.
비구여, 있는 그대로의 말씀이란 열반을 두고 한 말이다.
비구여, 들어온 길이란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성스러운 도(八支聖道=팔정도)를 두고 한 말이니 그것은 바른 견해, 바른 사유, 바른 말, 바른 행위, 바른 생계, 바른 정진, 바른 마음 챙김, 바른 삼매이다.”
Upamā kho myāyaṃ, bhikkhu, katā atthassa viññāpanāya. Ayañcettha attho: ‘nagaran’ti kho, bhikkhu, imassetaṃ cātumahābhūtikassa kāyassa adhivacanaṃ mātāpettikasambhavassa odanakummāsūpacayassa aniccucchādanaparimaddanabhedanaviddhaṃsanadhammassa. ‘Cha dvārā’ti kho, bhikkhu, channetaṃ ajjhattikānaṃ āyatanānaṃ adhivacanaṃ. ‘Dovāriko’ti kho, bhikkhu, satiyā etaṃ adhivacanaṃ. ‘Sīghaṃ dūtayugan’ti kho, bhikkhu, samathavipassanānetaṃ adhivacanaṃ. ‘Nagarassāmī’ti kho, bhikkhu, viññāṇassetaṃ adhivacanaṃ. ‘Majjhe siṅghāṭako’ti kho, bhikkhu, catunnetaṃ mahābhūtānaṃ adhivacanaṃ—pathavīdhātuyā, āpodhātuyā, tejodhātuyā, vāyodhātuyā. ‘Yathābhūtaṃ vacanan’ti kho, bhikkhu, nibbānassetaṃ adhivacanaṃ. ‘Yathāgatamaggo’ti kho, bhikkhu, ariyassetaṃ aṭṭhaṅgikassa maggassa adhivacanaṃ, seyyathidaṃ—sammādiṭṭhiyā … pe … sammāsamādhissā”ti.
S12:38 의도 경1 (Cetanā-sutta)
3. “비구들이여, 어떤 것을 의도하고 어떤 것을 계속해서 사유하고 어떤 것에 대해서 잠재성향을 가지면 그것은 의식이 머무는 조건이 된다. 조건이 있을 때 의식이 확립된다. 의식이 확립되고 증장하면 내생에 다시 태어남의 발생(정신∙물질)이 있게 된다. 내생에 다시 태어남의 발생이 있게 되면 내생의 늙음∙죽음과 근심∙탄식∙육체적 고통∙정신적 고통∙절망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전체 괴로움의 무더기[고온]가 발생한다.”
Sāvatthiyaṃ viharati. “ Yañca, bhikkhave, ceteti yañca pakappeti yañca anuseti, ārammaṇametaṃ hoti viññāṇassa ṭhitiyā. Ārammaṇe sati patiṭṭhā viññāṇassa hoti. Tasmiṃ patiṭṭhite viññāṇe virūḷhe āyatiṃ punabbhavābhinibbatti hoti. Āyatiṃ punabbhavābhinibbattiyā sati āyatiṃ jāti jarāmaraṇa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sambhavanti.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samudayo hoti.
yan :nūna→ya, what
ceteti; : see cetayati, see cinteti, To think 感知(to perceive),
cetayati : [cita+ṇaya+ti] perceives; thinks
naya : [m.] method; plan; manner; inference; right conclusion, 方法, 理趣, 意趣, 計畫, 定式
cinteti : [cint + e] thinks; reflects; considers
nūna : [ind.] indeed; surely; certainly
pakappeti : [pa + kapp + e] considers; designs; arranges; thinks over
kappeti : [kapp + e] prepares; harnesses; trims; considers; makes; leads (one's life)
anuseti : [anu + si + e] lies dormant [anu-seti, Sk. anuśayate] 随眠す, 随増す, 潜在す. pp. anusayita
seti : [si + a] sleeps, sayati の opt
sayati : [si + a] sleeps; lies down, 横たわる, 横臥す
ārammaṇaṃ:That on which anything rests or dwells, a support, stay, basis, 緣境, 對象
araṃ :Speedily, presently
ṭhitiyā = (ṭhiti + iyā ) 字尾: i<>iyā 陰性%单数%具格,離格,與格,屬格
ṭhiti: [f.] [ṭhā+ṇe+ti] stability; duration; continuance 住, 止住,定立.
ṭhā , (梵sthā)﹐【字根I.】停留(to stay),站著(to stand)
virūḷha : [pp. of virūhati] grown; increased
rūhati : [ruh + a] grows; ascends; heals (a wound).
Ruha : [adj.] (in cpds.) growing; rising up; ascending
Ru , 1.= =哭(cry); 2.= =打破(break)。
āyatiṃ : [adv.] in the future
nibbatti : 'arising', 'rebirth', is a synonym for paṭisandh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