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로니게

2번 게송

우암(雨庵) 2017. 4. 26. 12:21

무타(진주) 장로니


번뇌에서 풀려난 무타여

월식에서 풀려나는 달 처럼

마음이 분리되어 해탈로 향하였구나

빚 없는 존재로 태어나  넘쳐흐름이여!





알음알이 일어나 존재가 되니

알음알이한 역할이 나란 생각 일으키네!

이걸 아는 자는 수동적인 삶을 포기한다네!


역할이 내 존재 아님에 묶인자는

지금 스스로 내려 놓음을 원하니 

역할이 내 존재 아니라는 자 이루어지네


역할이 내 존재 아니라며  알음알이 일어나면 존재가 되어지지 않으니

역할은 존재가 아니라네


존재가 아니라고 알음알이하는 자가 있다면

존재가 사라질 수 없다는 것이니

존재하지 않는 다는 마음에 묶여있어 수행하지 않는 존재라네!



2. Muttā­therī­gāthā


“Mutte muccassu yogehi,
cando rāhuggahā iva;
Vippamuttena cittena,
anaṇā bhuñja piṇḍakan”ti.


Itthaṃ sudaṃ bhagavā muttaṃ sikkhamānaṃ imāya gāthāya abhiṇhaṃ ovadatīti.


mutta : [pp. of muñcati] released; loosened; delivered; sent off; emited; gave up. (pp. of muccati), become free. (nt.), the urine.:① a. [muñcati muc の pp. Sk. mukta] 脱せる, 解脱せる, 放出の ② n. [Sk. mūtra] 小便, 尿

muttā, (f.) a pearl, 真珠 진주

muccati: [muc + ya] becomes free; to be saved or released [muñcati の pass., Sk. mucyate] 脱す, 放出す, 音を出す

yoga: 'yokes, bonds', is another name for the 4 cankers (āsava, q.v.) connection; bond; endeavour; conjunction; attachment; effort; mixture,

caṇḍa:a. [〃] 暴惡的, 兇惡的

canda :m. [Sk. candra] 月, can, =be pleased= 高興

rāhuggaha: rāhu+gaha

rāhu :Name of an asura who is supposed to cause eclipses by taking the sun and moon into his mouth; the ascending node of the moon, eclipse, 羅睺, 阿修羅鬼

gaha: [m.] 1. one who catches or take possession of. 2. a planet. (nt.), house.。

gāha, (m.), 1. seizure; grip; 2. obsession; 3. an idea; a view

iva: [ind.] like; as

vippa : [m.] a brahman 바라문

vippamuñcati :To cast off, free oneself from

anaṇa : [adj.] free of debt.。無債的, 無負債的

aṇa:=iṇa m. [Sk. ṛṇa] 負債, 借金

iṇa: [nt.] debt, 負債, 借金, 借財

ānana : [nt.] face; mouth, 面,嘴

bhuñjati: [bhuj + ṃ-a] eats; enjoys, to possess, to govern :① [〃bhuj ①] 食べる, 享受す, 受用する ② [bhuj ②] 浄める, 浄化

Bhuja,2 [fr. bhuñjati2] clean, pure, bright, beautiful

Bhuja ,3 (adj.) [fr. bhuj to bend] bending, crooked

Bhū,1 [fr. bhū] (adj.) being, (n.) creature, living being

piṇḍaka : [m.] a lump; a lump of food, 食物, 団食, 行乞の食, 集団

piṇḍa : [m.] a lump; a lump of food 丸いもの, 球; 団食, 食物; 集団

pīna :a. [〃<pī] 肥大の, 肥満せる


2. 해탈니여, 네 가지 결박을 벗어나기
라아후라가 저 달을 잡듯이 하라.
그리하여 해탈한 마음으로써
부끄럽지 않게 보시 받아라.


2 뭇타여, 악마 라후에게 붙잡힌 달이

그 속박으로부터 곧 벗어나듯,

온갖 멍에로부터 벗어나라.

그리하여 아무런 빚도 없는 혜탈한 마음으로 시주(施主)의 음식을 받으라.


거룩하신 스숭께서는 종종 이러한 시구로 정학녀(正學女)뭇타를 가르치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