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법인
Sabbe saṅkhārā aniccā 諸行無常
Sabbe saṅkhārā dukkhā 諸行皆苦
Sabbe dhammā anattā 諸法無我
(Dhammapada, Verse 277-278- 279)
팔리어 경전에 따르면
삼법인에서의 일체 개고는 일체개고가 아니라 제행개고입니다.
중국에서 번역을 잘 못한 것입니다.
즉 제 식대로 번역하면
'나라고 생각하고 신구의로 행한 것이 괴로움이다.' 입니다
모든 식으로 인식된 것에는 내가 붙을 것이 없다. (제법무아)
라고하셨지
인식되어진 일체가 고다(Sabbe dhamma dukkha)라고 이야기를 하지 않으셨습니다.
오음성고라고 하셨지
(나라고 생각하는 오온이 고다)
일체 (sabbe dhamma)가 고라고 말씀하시지 않았습니다.
제가 이해한 삼법은은 다음과 같습니다.
세상이 변해가는 것에 대해서 우리는 어떻게 할 수 없다는 겁니다. (제행무상)
안 변했으면 좋겠는데 변해가니 불만족스럽습니다. (제행개고)
만약 내가 인식한 세상이라는 것(dhamma)이 내것이라면
내가 어떻게든 해 볼 수 있을 터인데,
내가 어떻게 해 볼 수 없는 것으로 보아
그것은 내 것이 아닙니다. (제법무아)
"abbe saṅkhārā aniccā"i,
yadā paññāya passati;
Atha nibbindati dukkhe,
esa maggo visuddhiyā.
"abbe saṅkhārā dukkhā"i,
yadā paññāya passati;
Atha nibbindati dukkhe,
esa maggo visuddhiyā.
"abbe dhammā anattā"i,
yadā paññāya passati;
Atha nibbindati dukkhe,
esa maggo visuddhiyā.
(Dhammapada, Verse 277-278- 279)
All conditioned things are impermanence,
Realize this with wisdom,
The wise will turn away from suffering
This is the path leading to purification (of the mind)
All conditioned things are unsatisdactory,
Realize this with wisdom,
The wise will turn away from suffering
This is the path leading to purification
All things are not self,
Realize this with wisdom,
The wise will turn away from suffering
This is the path leading to purification
Sadhu! Sadhu! Well (done)! Well (d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