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밋따 장로니
역할 맡은 존재가 일어남은 있음에 묶임이요 역할을 즐김이란 있음에 묶임이라네.
역할에서 스스로 공함으로 향하여 머물지 않는 내가 되니,
(세속의) 흐름을 포기하여 거슬러 공한 역할로 향함이란
지말(세속의 일)에 머물지 않아 선하게 스스로 계산하여 가는 존재라네!
일으켜 향하는 자가 스스로 머물러 수행을 하니(일으켜 향하여 가서 육처에 도달하니)
(수행 결과 나타난) 다른 존재인 이루어진 것에서 멀어져 즐김을 극복하여야 한다네.
태어남이 함께하는 유일한 것이란 존재가 있다는 것일 뿐이라네.
아는 것에 묶이는 것은 모든 인지된 것에서 (마음이) 움직이는 존재가 되는 것이라네.
(수행 결과 나타난) 다른 존재인 이루어진 것에 대해 향하여 머물고 포기하지 않아
묶임을 포기함을 없애지 않아 즐김에 묶인다 하네.
7. Mittātherīgāthā
“Cātuddasiṃ pañcadasiṃ,
yā ca pakkhassa aṭṭhamī;
Pāṭihāriyapakkhañca,
aṭṭhaṅgasusamāgataṃ.
Uposathaṃ upāgacchiṃ,
devakāyābhinandinī;
Sājja ekena bhattena,
muṇḍā saṅghāṭipārutā;
Devakāyaṃ na patthehaṃ,
vineyya hadaye daran”ti.
Mittā란 친구도 되지만 나라는 존재도 된다.
uposatha :m. [Sk. upavasatha, BSk. upoṣadha, poṣadha, posatha] 포살 布薩 일으켜 향하는 자가 스스로 머물러 (수행하다란 뜻인 듯)
upagacchi: [aor. of upagacchati] approached; underwent; undertook
muṇḍa: [adj.] bald, shaven; void of vegetation; bare
mun, ﹐【字根I.】知(=ñāṇa, to know)
pāruta: [pp. of pārupati] wrapped in; veiled; put on a robe
vineyya: [abs. of vineti] having removed. (adj.) fit to be trained
vinā: [ind.] without vinākaroti : [v.] separates, Without, except, 없애고, 제외하고
vineti: [vi + ni + e] leads; trains; instructs; removes
neti: [ni + a] leads; guides; carries away., see nayati
nayati: [ni + a] leads; guides; conducts
hadaya: [nt.] the heart, 심장, 마음(心)
dara: [m.] sorrow; anxiety; distress, 비애, 고뇌
31. 백흑분(白黑分)의 14일, 15일, 또 8일과
그리고 또 변개분(變改分)에 있어서
해와 달과 별들을 찬탄하면서
팔지(八支)를 두루 갖춘 포살계(布薩戒)를 지켰다.
32. 그리하여 나는 지금 한 끼를 먹고
머리를 새로 깎고 승가리를 둘렀나니
해와 달과 별들을 원하지 않고
가슴 속에는 두려움을 없애었다.
민족사 - 비구니의 고백
31. 매 반월(每半月)의 제 8, 제 14, 제 15 일 및
그 외의 특별한 날마다,
팔재계(八齋戒)를 엄수하는 포살(布薩, Uposatha)을 어기지 않았습니다.
- 신(神)의 몸으로 태어나기를 바라면서.
32. 머리를 깎고 가사를 걸친 채
하루에 한 끼 만을 먹는 지금은,
신의 몸으로 태어나기를 바라지 않습니다.
- 마음속의 공포가 다 사라졌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