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 관본주품(觀本住品) 第9 觀本住品(12偈) 근본주체에 대한 관찰 pūrvaparīkṣā nāma navamaṃ prakaraṇam 先行者의 고찰이라고 이름하는 제9장(12게) 본주(本住)란 우리가 주체(나)라고 생각하는 그것을 의미합니다. 금강경에서는 이 주체를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라 불렀습니다. 부처님께.. 용수보살의 중론 2017.07.04
제8 관작작자품(觀作作者品) 第8 觀作作者品(12偈) 행위와 행위자에 대한 관찰 karamakārakaparīkṣā nāmāṣṭamaṃ prakaraṇam 행위와 행위자의 고찰이라고 이름하는 제8장(13게) 우암이 이해한 觀作作者品은 우리의 생이란 비결정적이지만, 비 우연적이란 점을 나가르쥬나가 강조했다고 이해.. 용수보살의 중론 2017.07.02
제3 관육정품(8게송) 우암은 관육정품에서 보는 감각적인 것을 봄과 보는 자로 분리할 수 없음을 가르쳐 주심으로 이해했습니다. 우암은 봄(見)을 보는 행위와 보는 자로 구분한다는 것은 이미 '보는 내가 따로 존재한다.'라는 가정을 한 것으로 읽었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따로 보는 존재'란 눈으로 볼 수도 .. 용수보살의 중론 2017.06.28
중론의 관거래품(觀去來品) 우암이 공부 인연이 있어서 용수보살(龍樹 나가르쥬나 Nāgārjuna)의 중론(Madhyamaka Kārikā)을 읽어보게 되었습니다. 중론은 총 27장 450여 수의 게송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합니다. 그 중에서 제2 장인 관거래품(觀去來品)의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우암이 이해한 중론 관거래품의 .. 용수보살의 중론 2017.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