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달음을 방해하는 다섯 가지 장애(오개 五蓋 pa?ca n?vara?a)
1. 감각적 즐거움에 대한 열의(k?m?chanda),
2. 악의(by?p?da),
3. 해태와 혼침(th?na-middha),
4. 들뜸과 회한(uddhacca-kukkucca),
5. 회의적 의심(vicikicch?)
kukkucca : [nt.] remorse; scruple; worry 不行儀, ?作, 後悔, 悔, 悔疑
수행의 완성을 M51 깐다라까의 경에서는 다음의 차제로 설명하신다.
그리고 이 다섯 가지 장애의 정화는 사선정 직전에 이루어 진다.
부처님의 출현
가르침을 듣고 믿음을 냄
출가
계행을 갖추고
의식주 검소
육근 수호
정념 정지
계행을 갖추고, 육근을 수호하면서, 정념하면서 외딴 처소를 벗 삼는다.
다섯 가지 장애의 마음을 정화시킨다.
사선정을 성취한다.
숙명통
천안통
누진통
한편 다섯 가지 장애의 비유는 다음과 같다.
M39 앗싸뿌라 설법의 큰 경
다섯 가지 장애의 비유:
- 빚과 같고 (감각적 즐거움에 대한 열의란 내 것이 아닌 것을 내 것으로 착각하고 빠져있는 국면이니 빚을 진 것이라는 말씀?),
- 질병과 같고 (내가 있다는 병이 생겨서 나와 남을 구분하고 나 아닌 것에 적의를 나타내는 것이니 질병),
- 감옥과 같고(해태와 혼침이란 아무 것도 해 볼 수 없는 상태이니까),
- 노예와 같고(들뜸과 회한이란 나라는 생각의 노예가 되는 것),
- 사막의 길(kant?raddh?namagga?; 회의적 의심이란 길이 없다는 말씀?)과 같이 본다.
kant?ra : [m.] wilderness; desert
addh?namagga: a long path; high road, 旅路道
1)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빚을 내어 사업을 하는데, 그가 그 사업에 성공하여 예전의 빚을 청산하고 더구나 처를 부양할 만한 남은 재산이 있다고 하자. 그는 이와 같이 생각할 것이다. ‘나는 빚을 내어 사업을 시작했지만, 나는 지금 그 사업에 성공하여 예전의 빚을 청산하고 처를 부양할 만한 남은 재산이 있다.’ 그는 그것을 원인으로 환희를 얻고 만족을 성취한다.
2)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병이 들어 고통스러운데 아주 심하게 고통스러워, 그에게 음식은 맞지 않고, 몸은 허약해졌지만, 나중에 병이 나아서, 그에게 음식이 맞고, 몸은 강건해졌다고 하자. 그는 이와 같이 생각할 것이다. ‘나는 병이 들어 고통스러운데 아주 심하게 고통스러워, 그에게 음식은 맞지 않고, 몸은 허약해졌지만, 지금은 병이 나아서, 나에게 음식이 맞고, 몸은 강건해졌다.’ 그는 그것을 원인으로 환희를 얻고 만족을 성취한다.
3)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감옥에 묶여있었는데, 그가 나중에 안전하게 위험 없이 석방되었고 그에게 재산상의 손실도 없었다고 하자. 그는 이와 같이 생각할 것이다. ‘나는 감옥에 묶여있었는데, 지금 안전하게 위험 없이 석방되었고 나에게 재산상의 손실도 없다.’ 그는 그것을 원인으로 환희를 얻고 만족을 성취한다.
4)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노예가 되어 자립적이지 못하고 남에게 종속되어 있어 가고 싶은 곳도 갈 수 없었는데, 그가 나중에 그 노예 상태에서 해방되어 자유민으로 가고 싶은 곳을 갈 수 있다고 하자. 그는 이와 같이 생각할 것이다. ‘나는 노예가 되어 자립적이지 못하고 남에게 종속되어 있어 가고 싶은 곳도 갈 수 없었는데, 지금은 그 노예 상태에서 해방되어 자유민으로 가고 싶은 곳을 갈 수 있다.’ 그는 그것을 원인으로 환희를 얻고 만족을 성취한다.
5)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돈과 재물을 가지고 사막을 가로질러 길을 여행하는데, 그가 나중에 안전하게 위험 없이 사막을 빠져 나왔고 그에게 재산상의 손실도 없었다고 하자. 그는 이와 같이 생각할 것이다. ‘나는 돈과 재물을 가지고 사막을 가로질러 길을 여행했는데, 이제는 안전하게 위험 없이 사막을 빠져 나왔고 나에게 재산상의 손실도 없었다.’ 그는 그것을 원인으로 환희를 얻고 만족을 성취한다.
수행승들이여, 이와 같이 수행승은 자기에게 이들 다섯 가지 장애가 아직 버려지지 않았을 때에, 그것들을 빚과 같고, 질병과 같고, 감옥과 같고, 노예와 같고, 사막의 길과 같이 본다. 수행승들이여, 이와 같이 수행승은 이 다섯 가지 장애가 이미 버려졌을 때에는 빚이 없는 것과 같고, 질병이 없는 것과 같고, 감옥에서 벗어난 것과 같고, 자유인과 같고, 낙원과 같이 본다. 그는 이 다섯 가지 장애, 지혜를 약화시키는 마음의 오염들을 버리고, 감각적 쾌락에 대한 욕망을 여의고 악하고 불건전한 상태를 떠나서, 사유를 갖추고 숙고를 갖추어 멀리 여읨에서 생겨나는 희열과 행복으로 가득한 첫 번째 선정을 성취한다.
다른 경에서는 다른 비유로 나타나기도 한다.
S45:55 상가라와 경 (S??garava-sutta)
1) 감각적 욕망 - 물이 가득 담긴 그릇에 붉은 랙이나 노란 심황이나 남색의 쪽이나 심홍색의 꼭두서니가 섞여 있으면 눈을 가진 사람이 거기에 자신의 얼굴 영상을 비춰보더라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알지 못하고 보지 못하는 것과 같다.
2) 악의 - 물이 가득 담긴 그릇을 타오르는 불 위에 놓아서 물이 끓어 넘치면 눈을 가진 사람이 거기에 자신의 얼굴 영상을 비춰보더라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알지 못하고 보지 못하는 것과 같다.
3) 해태와 혼침 - 물이 가득 담긴 그릇이 이끼와 수초로 덮여 있으면 눈을 가진 사람이 거기에 자신의 얼굴 영상을 비춰보더라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알지 못하고 보지 못하는 것과 같다.
4) 들뜸과 후회 - 물이 가득 담긴 그릇이 바람에 흔들리고 움직이고 소용돌이치고 물결치면 눈을 가진 사람이 거기에 자신의 얼굴 영상을 비춰보더라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알지 못하고 보지 못하는 것과 같다.
5) 의심 - 물이 가득 담긴 그릇이 흐리고 혼탁하고 진흙투성이고 어둠 속에 놓여 있으면 눈을 가진 사람이 거기에 자신의 얼굴 영상을 비춰보더라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알지 못하고 보지 못하는 것과 같다.
그리고 이러한 장애에 대한 대처는 다음과 같이 경에 나타난다.
M10 새김 토대에 대한 경
§29~30 다섯 가지 장애 (오개) 가운데 사실에 대해서 사실을 관찰함.
다섯 가지 장애의 유무를 분명히 알고(paj?n?ti),
다섯 장애가 생기면(uppanna) 생기는 대로,
버려지면(pah?na) 버려지는 대로,
버려진 것이 미래에 안 생겨나면 안 생겨 난다는 것을 분명히 안다(paj?n?ti).
M4 두려움과 공포에 대한 경
§11 ① 탐욕스럽게 감각적 쾌락에 대한 욕망을 탐함(abhijjh?luk?mesutibbas?r?gasandosahetu).
② 탐욕을 여읨(anabhijjh?l?hamasmi).
③ 자신 안에서 탐욕을 여읜 것을 봄.
abhijjh? : 'covetousness' is a synonym of lobha
k?mesu-micch?c?ra : lit. 'wrong or evil conduct with regard to sensual things'; 'unlawful sexual intercourse' refers to adultery
tibba:a. = tippa 重的, (程度上)?(甚,極)~的, 激烈(?烈,猛烈)的. -g?rava 極尊重. -r?ga 苦貪. -s?r?ga 甚貪欲 (심탐욕)
§12 ① 분노의 마음과 증오의 의도를 가짐(by?pannacittapadu??hamanasa?kappasandosahetu).
② 자애의 마음을 지님(mettacittohamasmi).
③ 자신 안에서 자애로운 마음을 봄.
padu??ha : [pp. of padussati] done wrong; offended against; was corrupted 악의적
§13 ① 해태와 혼침에 사로잡힘(thinamiddhapariyu??h?nasandosahetu).
② 해태와 혼침을 떨쳐버림(vigatathinamiddhohamasmi).
③ 자신 안에서 해태와 혼침을 떨쳐버린 것을 봄.
pariyu??h?na : [nt.] outburst; prepossession
vigata : [pp. of vigacchati] gone away; ceased; deprived of; being without
§14 ① 흥분하여 마음이 불안정함(uddhataav?pasantacittasandosahetu).
② 마음의 안정을 성취함(v?pasantacittohamasmi).
③ 자신 안에서 마음의 안정을 성취한 것을 봄.
v?pasanta : [pp. of v?pasammati] allayed; calmed
§15 ① 의혹을 갖고 의심으로 가득 참(ka?khivicikicchisandosahetu).
② 의심을 떨쳐버림(ti??avicikicchohamasmi).
③ 자신 안에서 의심을 떨쳐버린 것을 봄.
ka?khi : [aor. of ka?khati] doubted; was uncertain
ti??a : (pp. of tarati) crossed over; gone through
한편 M16 마음의 황무지에 대한 경 (Cetokhilasutta)에서는 의심을 황무지에 비유하신다.
이는 M39 앗싸뿌라 설법의 큰 경에서 의심을 사막의 길에 비유한 것과도 유사하다.
§4 다섯 가지 마음의 황무지
스승(불)에 대해 의심하고 주저하고 확신하지 못하고 신뢰하지 못함.
가르침(법)에 대해 의심하고 주저하고 확신하지 못하고 신뢰하지 못함.
참모임(승)에 대해 의심하고 주저하고 확신하지 못하고 신뢰하지 못함.
배움에 대해 의심하고 주저하고 확신하지 못하고 신뢰하지 못함.
동료 수행자에 대해 화를 내고 불쾌하게 여기고 상처를 주고 냉담함.
이렇게 되면 그의 마음은 열심, 전념, 인내, 정근으로 향하지 못한다.
이것이 마음의 황무지를 버리지 못하는 것이다.
§8 다섯 가지 마음의 황무지를 버리는 것
스승(불)에 대해 의심하지 않고 주저하지 않고 확신하고 신뢰함.
가르침(법)에 대해 의심하지 않고 주저하지 않고 확신하고 신뢰함.
참모임(승)에 대해 의심하지 않고 주저하지 않고 확신하고 신뢰함.
배움에 대해 의심하지 않고 주저하지 않고 확신하고 신뢰함.
동료 수행자에 대해 화를 내지 않고 불쾌하게 여기지 않고 상처를 주지 않고 냉담하지 않음.
이렇게 되면 그의 마음은 열심, 전념, 인내, 정근으로 향한다.
'부처님의 가르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행의 시작점-자성 (0) | 2015.02.21 |
---|---|
사선의 비유 (0) | 2015.02.21 |
사무량심은 자애를 일으키는 수행 (0) | 2015.02.21 |
번뇌를 어떻게 소멸할 것인가? (0) | 2015.02.21 |
사념처와 사여의족 (0) | 201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