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밋타(친구) 장로니
(부처님에 대한) 믿음으로 출가한
밋타에겐 벗을 즐김이 있었다.
이제는 올바른 법이 있으니
노력조차 고요해진 상태를 얻었다.
8. Mittātherīgāthā
“Saddhāya pabbajitvāna,
mitte mittaratā bhava;
Bhāvehi kusale dhamme,
yogakkhemassa pattiyā”ti.
pabbajitvāna: [pa+vaja+tvāna] ( pabbajitva + āna ) 字尾: a<>āna 陽性%复数%與格,屬格
pabbajitvā: [abs. of pabbajati] having gone forth; having become a monk; having leaved household life
pabbajati: [pa + vaj + a] goes forth; becomes a monk; leaves household life, = pavajati 出家, 遁世
pabba:n. [Sk. parvan] 結節(a knot of the stalk), 節(a knot), 接縫接口連接處(joint); (身體的)腕(手腕腳踝等)
jitvā: [abs. of jināti] having conquered; having subdued
jināti: [ji + nā] conquers; subdues
rata: [pp. of ramati] delighted in; devoted to; enjoyed oneself 즐기는, 사랑하는
ramati : [ram + a] delights in; enjoys oneself 계량(ma)하는 것을 주는(ra) 이니 즐긴다로 보면 된다.
bhava:m. [〃<bhū] 有, 存在, 生存, 繁栄, 幸福
bhāvanā는 수행 혹은 명상의 뜻이 있으니 '존재하지 않게 되는 것'이 명상이다.
mitta란 친구도 되지만 mi(측량하다, 계교하다)+ta(것)으로도 읽힐 수 있다.
이렇게 본다면 mittaratā bhava란 '계교하는 것을 주는 것이 있었다.'로 읽을 수도 있다. 이렇게 해석해 보면 앞서 믿음으로 출가했다는 말이 이해가 된다.
pattiya :① a. m. [= paccaya] 信頼的, 依止的; 信頼. believing, trusting, relying ② a. [= pattabba. pāpuṇāti 的 grd.] 能(可,應)被得的, 所得的, to be attained, to be shared or profited
8. 밋타여, 신심(信心)으로 집을 떠나
벗을 사귀기 즐거워하고
안온한 열반에 이르기 위해
모든 선법을 잘 닦으라.
8 밋타여, 신심을 바탕으로 출가한 이상,
그대는 진리의 벗들과 즐거이 사귀라.
열반의 명안에 이르려거든,
오로지 선한 일만을 닦아 나가라.